동아리 시설 예약 어플 개발을 시작한지 딱 한달이 지난 지금까지의 진행 상황을 정리하고 기록해보려 한다,
어플의 주요 기능은 회원가입 및 로그인 / 공지사항 / 일정 등록 / 시설 예약 / 전화번호부로 나눌 수 있다. 그 중 로그인과 공지사항은 기능적 구현이 마무리된 상태이고, 일정 등록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기 전 준비하는 과정에 있다.
백엔드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과정에서 retrofit을 이용하였고, 전체적인 아키텍쳐는 MVVM 패턴으로 구현하였다. 자세한 방법은 아래 이전 게시물에 기록해두었다.
1. Android Retrofit - POST 이용하기
프로젝트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을 이틀 정도 숙지하고 난 후에 약 이틀간 안드로이드에서 REST API로 통신할 수 있는 Retrofit을 공부했다. 방학 동안 잠깐 찍먹했던 경험이 있어서 할만 하겠다는 생
self-motivated-developer.tistory.com
3. Android MVVM 패턴의 사용
계속 언급해왔듯 제대로된, 권장사항을 지키는 어플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인 만큼 이번 어플은 AAC (안드로이드 아키텍쳐 컴포넌트) 중 MVVM 패턴을 사용해 개발하고 있다. ACC 에는 아래와 같이 크
self-motivated-developer.tistory.com
로그인을 한 유저가 이후 어플을 이용할 경우에는 로컬 DB에 저장된 token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로그인이 되도록 구현된 상태이다. 일정 시간이 지나면 token이 만료되게 되고 그 경우에는 영구적인 token을 통해 DB에 만료된 token 재발급을 요청한다.
제대로 된 서버와 통신하고, REST API를 통하는 과정 일련을 배우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지금까지 내가 해왔던 개발이 프론트에만 한정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더욱 실감할 수 있었다. 백엔드에서 더 정밀한 데이터 처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주면 그 데이터를 잘 가공해서 사용하는 것이 결국은 완성도 높은 결과물로 이어질 것이라고 확신한다.
또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간 약속을 정하고 일정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개발하면서 깨달았고, 아직 더 많이 공부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.
사실 이 어플의 주요 기능은 예약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. 어플을 개발하고 있는 주요 목적이 편리하게 통일된 창구에서 예약과 예약 확인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. 꾸준히 진행상황을 기록하면서 남은 기능들도 잘 만들어갈 것이다.
'APP 프로젝트 > Toy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. Android toy project 다시 시작! (0) | 2022.11.09 |
---|---|
6. Android Room DB 사용하기 (0) | 2022.10.07 |
4. Android LiveData 사용하여 데이터 처리하기 (1) | 2022.09.19 |
3. Android MVVM 패턴의 사용 (0) | 2022.09.16 |
2. Android Retrofit - GET 이용하기 (0) | 2022.09.05 |